SI 단위로 배우는 기계설계학 개정판
저자
김낭움, 김창완, 변성광, 양성모, 이치우, 전형민, 정선모, 황평
출간일
2023년 02월 25일
페이지
744면
ISBN
9791159714818
가격
33,000원
본문
책소개
현대는 기계 없이는 살 수 없는 세상이다. 기계는 간단한 기계에서 복잡한 기계에 이르기까지 많은 종류들이 있다. 그러나 아무리 복잡한 기계라할지라도 간단한 기계요소들로 조합되어 있다. B. W. Kennedy는 “기계란 몇 개의 저항있는 물체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각 물체는 각각 일정하게 구속된 상대운동을 하고 있으며, 그 일단에 동력을 주면 타단에서는 인간에게 유효한 일을 하는 것이다”라고 정의를 내리고 있다. 따라서 기계요소는 기계를 구성하는 각각의 저항물체를 말한다.
기계를 설계한다는 것은 특별한 목적에 필요한 기계의 제작 또는 개량에 관한 계획을 설정하는 것이다. 기계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목적에 맞는 기구를 선택할 것과 기계 각 부분에 가해지는 힘에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설계할 때에는 먼저 기구를 생각하고 기계를 구성하는 각부의 재료와 그 치수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기계를 설계 또는 제작하려면 기계요소에 작용하는 응력상태, 형상, 재료 및 제작법에 대한 지식을 종합적으로 알고 있어야 한다.
좋은 기계를 만들려면 좋은 설계를 하여야 한다. 좋은 설계는 기계 전반에 관한 폭넓은 지식과 경험을 통하여 얻어진다. 특히 각 부분의 구조, 형상, 크기 등을 결정하려면 기계요소의 종류, 구조, 기능 등에 관해서도 충분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설계를 하기 전에 널리 자료를 모아서 참고로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즉 KS규격 및 ISO규격은 물론이고 그 밖의 규격, 법규, 카탈로그 등 많은 설계자료를 정리해서 충분히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설계할 때 사용할 부품은 규격품을 많이 사용하면 생산이나 교환에 유리하며 대량생산에 의해 좋은 제품을 값싸고 빠르게 만들 수가 있다. 또한 제품의 편의성과 아름다운 형상은 제품의 시장가치를 높이므로 디자인도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설계 시 가장 중요한 점은 안전성이다.
목차
Chapter 01 서 론 ···································································1
1.1 기계요소 및 기계설계 ■1
1.2 설계제도 및 기계공작 ■2
1.3 표준규격 ■2
1.4 재료의 강도 ■6
1.5 응력집중 ■8
1.6 피로 ■10
1.7 허용응력과 안전계수 ■11
1.8 공차와 끼워맞춤 ■14
1.9 가공법과 정밀도 ■19
Chapter 02 나사․볼트․너트 ··········································21
2.1 나사의 구성과 용어 ■21
2.2 나사의 종류 ■25
2.3 나사의 역학 ■50
2.4 나사의 기본설계 ■62
2.5 나사의 실기문제 ■81
연습문제 ■87
Chapter 03 키․코터․핀 ··················································89
3.1 키 (key) ■89
3.2 코터 (cotter) ■120
3.3 핀 (pin) ■131
연습문제 ■138
Chapter 04 리벳 이음 ······················································141
4.1 리벳의 종류 ■141
4.2 리벳 작업 ■149
4.3 리벳 이음의 분류 ■151
4.4 리벳 이음의 강도계산 ■152
4.5 리벳의 효율 ■156
4.6 기밀과 강도를 필요로 하는 리벳 이음 ■160
4.7 구조용 리벳 이음 ■164
4.8 편심하중을 받는 리벳 이음 ■168
연습문제 ■171
Chapter 05 용접 이음 설계 ············································173
5.1 용접의 개요 ■173
5.2 용접의 종류 ■174
5.3 용접법의 종류 ■174
5.4 용접부 ■179
5.5 용접 이음 설계 ■183
연습문제 ■206
Chapter 06 축 ····································································207
6.1 축의 분류 ■207
6.2 축의 설계에 있어서 고려되는 사항 ■210
6.3 강도에 의한 축지름의 설계 ■212
6.4 강성도 (stiffness)에 의한 축지름의 설계 ■226
6.5 축의 진동 ■232
연습문제 ■241
Chapter 07 축이음 ······························································243
7.1 축이음 (shaft joint) ■243
7.2 커플링 ■245
7.3 클러치 ■280
7.4 축이음 종합문제 ■301
연습문제 ■304
Chapter 08 구름 베어링 ···················································307
8.1 베어링의 종류 ■307
8.2 구름 베어링의 구조와 작용 ■310
8.3 구름 베어링의 장단점 ■311
8.4 구름 베어링의 표시 ■312
8.5 구름 베어링의 종류와 특성 ■319
8.6 구름 베어링의 KS규격 ■319
8.7 볼접촉의 기초이론 ■320
8.8 구름 베어링의 수명 ■332
8.9 구름 베어링의 설계 ■335
8.10 구름 베어링의 종합문제 ■346
연습문제 ■349
Chapter 09 미끄럼 베어링 ···············································351
9.1 미끄럼 베어링의 종류 ■351
9.2 미끄럼 베어링에 있어서 미끄럼면의 형식 ■352
9.3 미끄럼 베어링의 기초이론 ■355
9.4 저널의 기본설계 ■362
9.5 레이디얼 미끄럼 베어링의 설계 ■373
9.6 미끄럼 베어링의 종합문제 ■381
연습문제 ■383
Chapter 10 브레이크 ·························································385
10.1 브레이크 ■385
10.2 브레이크의 종류 ■385
연습문제 ■413
Chapter 11 스프링 및 관성차 ·········································415
11.1 스프링의 개요 ■415
11.2 스프링의 특성 ■415
11.3 스프링의 종류 ■417
11.4 스프링의 용도와 규격 ■424
11.5 코일 스프링 ■424
11.6 판 스프링 ■430
11.7 비틀림막대 (torsion bar) 스프링 ■442
11.8 접시 스프링 ■444
11.9 관성차 (flywheel) ■445
연습문제 ■456
Chapter 12 마찰차 전동장치 ···········································459
12.1 마찰차의 개요 ■459
12.2 무단변속마찰차 ■476
연습문제 ■485
Chapter 13 기어 전동 ·······················································487
13.1 기어 전동장치 ■487
13.2 기어의 기초이론 ■494
13.3 전위 기어 ■521
13.4 이의 강도설계 ■535
연습문제 ■557
Chapter 14 특수 기어 ·······················································559
14.1 헬리컬 기어 ■559
14.2 베벨 기어 ■571
14.3 웜과 웜 기어 ■595
14.4 헬리컬 기어의 종합문제 ■604
연습문제 ■611
Chapter 15 평벨트 전동 ···················································613
15.1 감기 전동장치 ■613
15.2 평벨트 전동장치 ■614
15.3 벨트의 길이 ■622
15.4 벨트의 장력과 전달마력 ■626
15.5 벨트전동의 설계공식 ■634
15.6 단차 (step pulley) ■643
15.7 풀리의 축에 작용하는 힘 ■645
15.8 벨트와 풀리장치의 치수설계 ■649
연습문제 ■656
Chapter 16 V 벨트 전동 ···················································659
16.1 V 벨트 ■659
16.2 V 벨트 장치의 설계 ■664
16.3 V 벨트 풀리 ■673
16.4 V 벨트 설계 시의 주의사항 ■678
연습문제 ■679
Chapter 17 로프 전동 ·······················································681
17.1 로프 전동의 개요 ■681
17.2 와이어 로프 ■682
연습문제 ■695
Chapter 18 체인 전동 ·······················································697
18.1 체인 전동 ■697
18.2 전동용 체인 ■699
18.3 체인의 기본설계 ■703
18.4 전동마력표에 의한 계산 ■714
18.5 스프로킷 휠 ■714
18.6 사일런트 체인 ■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