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과 문화 (개정2판) > 대학 교재

본문 바로가기
배경
검색창 열기
대학 교재

숲과 문화 (개정2판)

본문

책소개

《숲과 문화》개정판을 펴낸 지 8년이 지난 시점에 다시 내용을 보완할 수 있게 되어서 기쁘다. 그사이 잘못 표기된 오탈자에 대한 독자의 지적과 과학과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른 몇몇 주제의 보완은 저자에게 안겨진 과제였다. 그 과제는 개정 2

판을 준비하자는 출판사의 제의로 일정 부분 해결할 수 있었다.

《숲과 문화》는 대한민국 학술원 기초학문 분야 2006년‘우수 학술도서’로 선정되는 영광도 누렸다. 산림학 분야의 전공서적이 학술원의 우수 학술도서로 선정된 사례가 드문 형편에 이 일은 저자에게 꽤 의미심장한 일로 다가왔고, 산림 문화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20년 이상 이 분야에 천착하고 있는 주변 동료들에게도 큰 격려라 생각된다.

개정 2판에서는 국제식량농업기구의‘2010년 지구 산림자원 평가 보고서’와 ‘2007년 기후변동에 관한 정부간 패널 보고서’를 참고하여 세계 산림자원의 변화 추세와 지구 온난화에 따른 숲의 역할과 영향을 새롭게 조망하였다. 그밖에 ‘산업 혁명과 숲’의 내용 중 일부를 보완하고, ‘사찰림의 역사성과 문화적 가치’를 ‘불교에 나타난 나무와 숲’에 보강할 수 있게 되었다.

목차

1장 숲의 유래와 기능

2장 숲과 문명 발달

3장 우리 숲의 변천

4장 상징 속에 나타난 나무와 숲

5장 문학에 나타난 나무와 숲

6장 음악에 나타난 나무와 숲

7장 미술에 나타난 나무와 숲

8장 종교에 나타난 나무와 숲

9장 민속에 나타난 나무와 숲

10장 숲과 시민사회

11장 숲과 녹색문화

12장 문화현장에 내재된 나무와 숲

저 자
소 개

전 영 우 全瑛宇 / ychun@kookmin.ac.kr

•고려대학교 농과대학 임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임학과) 농학석사

•아이오와주립대학교 대학원 과학석사

•아이오와주립대학교 대학원 산림생물학 박사

•국민대학교 도서관장, 전산정보원장, 삼림과학대학장 역임

•현재 국민대학교 산림환경시스템학과 명예교수, (재) 동숭학술재단 사무국장, 문화재 위원

•저서

《산림문화론》(국민대학교 출판부 1997)

《숲과 한국문화》(수문출판사 1999)

《나무와 숲이 있었네》(학고재 1999)

《숲과 시민사회》(수문출판사 2002)

《숲과 녹색문화》(수문출판사 2002)

《숲-보기, 읽기, 담기》(현암사 2003)

《산》(웅진닷컴 2003)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소나무》(현암사 2004)

《森と韓國文化》(일본 동경, 國書刊行會2004)

《한국의 명품 소나무》(시사일본어사 2005)

《The Red Pine》(Books Hill 2009)

《Forest and Korean Culture》(Books Hill 2010)

《비우고 채우는 즐거움, 절집 숲》(운주사 2011)

《한국의 사찰숲》(모과나무 2016)

•기타(역서 및 멀티미디어)

《세계의 나무》(넥서스 2003)

《한국 숲의 생태기행》(멀티미디어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