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 춤을 만나다
저자
에밀리 코츠, 사라 데머스
역자
오기영
출간일
2020년 01월 10일
페이지
312면
ISBN
9791159712470
가격
18,000원
본문
책소개
이 책에서 물리학자와 무용가인 두 저자는 고전 물리학에서 현대 물리학에 이르는 광범위한 물리학 내용과 고전 발레부터 스트리트 댄스와 비디오 아트에 이르기까지의 춤의 역사와 의미를 명쾌하게 설명하고 있을 뿐 아니라, 두 분야 사이의 관계성과 그 의미를 간결하고 우아하게 해석하고 있다. 두 분야가 ‘움직임’ 또는 ‘동작’이라는 공통분모를 통해 연계되어 있음은 쉽게 짐작할 수 있지만, 그 연계성을 씨줄과 날줄 엮듯 치밀하게 분석하고 이를 쉽게 설명하는 것은 그리 만만한 작업이 아니다. 이런 측면에서 학제적연구의 위용을 새삼 느낄 수 있으며, 두 저자의 협업 정신과 노력에 박수를 보내고 싶다.
물리학과 연계해서 소개된 예체능 관련 분야의 교양 서적은 즐비하다. 음악, 미술, 사진, 축구, 골프 등의 분야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이제 이 책을 통해 춤이 추가된 것이다. 주목할 점은, 정도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전자는 주로 해당 분야의 기능과 관련된 내용의 해설적 도구로 물리학이 활용됨으로써 파동 역학이나 광학 또는 뉴턴 역학 등의 내용이 중점적으로 이용된다.
이에 반해 이 책은 춤 동작의 기능적 설명뿐 아니라 춤의 형식과 의미와 사조에까지 물리학의 내용과 의미를 접목시키려는 시도를 통해 물리학 전 분야를 고루 활용하고 있다. 이 책이 매력적인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것이다. 이 소개서를 통해 이질적으로 보이는 두 분야인 물리학과 춤을 통합적 시각으로 관조함으로써 운동과 인간, 그리고 우주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져보길 바란다.
목차
차례
옮기면서 ... 5
들어가며 ... 7
1부 동작의 원리
1. 중력 ... 19
중력에 맞추기│만유인력 법칙│균형 잡기│질량 중심│함께 균형 잡기
버팀 면적│미래의 춤│학제적 사고
2. 힘 ... 41
뉴턴의 운동 제1 법칙│뉴턴의 운동 제2 법칙│플리에│하강과 상승
자유 물체 도형│문화적 힘 도형│힘 판과 플리에│뉴턴의 운동 제3 법칙
어떻게 움직일 수 있나│일상적인 행동│언제 걷기가 걷기 이상의 의미를 가질까
3. 운동 ... 67
춤추는 발│도약과 착지│발사체 운동│등가속도 운동 방정식
연직 운동과 포물선 운동│점프 계산하기│0의 속도
4. 마찰 ... 91
마찰과의 즉흥극│운동 마찰│서핑│정지 마찰│마찰력 계산하기
사람이 상자라면│마찰로 구성하기│탱고를 출 수 있는 세상
5. 운동량 ... 113
파도 따라잡기│운동량 계산하기│운동량 보존│운동량 동작 프레이즈
계의 운동량 보존│둘(또는 셋)의 운동량
6. 회전하기 ... 133
피루엣│회전 운동│런지│토크│팔의 배치│관성 모멘트│회전
각운동량│운동 지능
2부 에너지, 공간, 시간
7. 에너지 ... 159
운동 에너지│형식으로서의 에너지│중력 퍼텐셜 에너지│낙하하기
탄성 퍼텐셜 에너지│에너지 혼합하기│빛에너지와 전자기 스펙트럼
마킹에서 어택까지│양자화된 에너지와 보어 원자│에너지 이미지
암흑 에너지│진짜 에너지와 겉보기 에너지│E 〓 mc2
8. 공간 ... 187
춤추는 세포│미시 세계 엿보기│몸의 지리학│우주 안의 무용수
공간 쓰기│특수 상대론의 공리│특수 상대론: 길이 수축
절대적 안무 공간에서 상대적 안무 공간으로│무대 공간│관점
9. 시간 ... 221
특수 상대론: 시간 팽창│시공간│커닝햄의 ‘공간, 시간 그리고 춤’
일반 상대론│확장된 지속 시간│뮤온의 수명│변화의 속도
중력파│고스트캐칭│우주 이야기│인지
맺는말 ... 254
감사의 글 ... 257
워크북 ... 261
물리학 문제 | 물리학 문제 해답 | 안무 연구
참고자료 ... 301
찾아보기 ... 306
저 자
소 개
지은이
에밀리 코츠는 예일대학교 연극학 프로그램의 부교수로 무용학 커리큘럼을 만들었다. 사라 데머스는예일대학교의 호레이스 듀톤 태프트 Horace Dutton Taft 부교수이다. 이들의 작업은 세계 과학 축전에서 다루어졌으며, 뉴욕타임스〉와 〈뉴요커〉에 보도되었다.
옮긴이
오기영은 서울대학교 자연대학원 물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서울대학교, 경희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박사후연구원을 거쳐, 현재는 한경대학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전공분야인 고체 물리학(이론) 분야 연구와 물리학 강의 이외 에도 인문 · 사회 계열 학생들을 위한 학제적 교양강좌 개발에 힘쓰고 있다.